설립목적
장애인복지법의 규정에 의해 직업재활시설을 운영하며, 주된 목적은 지역사회 장애인이 일을 통한 삶의 질 향상에 있습니다.
시설현황
- 시 설 명
- 경남직업재활센터
- 대 표 자
- 정대영
- 설 립 일
- 2011년 5월 11일
- 소 재 지
- 경상남도 진주시 이반성면 하곡로 186-15
- 연 락 처
- T. 055-759-0093 | F. 055-759-0094 | Email : kn7590093@daum.net
시설강령
- 핵심가치
- - 우수한 직업재활모델을 수행하며, 투명하고 효율적인 기관운영으로 장애인이 행복한 복지기반 조성
- 미 션
-
- 우수하고 안정적인 생산체계 마련
- 체계적인 직업재활서비스 지원
- 지역사회와의 연계, 협력을 통한 자원개발의 확대
- 의사소통과 역량강화를 통한 전문성 확보
- 투명하고 체계적인 행정체계 구축 - 비 전
- - 장애인을 위한 통합적, 장벽 없는, 그리고 권리에 근거한 사회화로의 추진
-
전략목표&전략과제
전략목표 전략과제 장애인 근로자의 직업역량 강화 및 고용안전 지원 - 직무능력 맞춤형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
- 다양한 직무분야의 일자리 창출 및 확대
- 직업적응훈련과 현장실습 연계 강화
- 개별화된 전이계획 수립 및 이행 관리 강화
- 직업훈련 결과에 따른 사후관리체계 구축생산체계 고도화 및 품질 향상 - 생산공정 개선 및 효율성 향상
- 수익창출형 제품 및 서비스 개발 확대
- 품질관리 체계 확립 및 고객만족도 제고
- 근로자 참여형 생산관리 프로그램 도입조직 역량 및
종사자 전문성 강화-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체계 구축
- 성과관리 및 직무분석 기반 인사제도 도입
- 소통과 협업 중심의 조직문화 정착
- 훈련지도사 및 작업지도원 전문성 향상 교육 확대인권 기반의 복지서비스
환경 조성- 장애인 근로자의 인권보호 정책 수립
- 복지지원서비스의 다양화 및 질적 향상
- 자치활동 및 권리증진 프로그램 운영
- 근로자 대상 정기 인권교육 및 상담시스템 구축지역사회 협력 및
사회적 가치 실현- 직업재활 네트워크 및 유관기관 협력체계 강화
- 지역사회 홍보 및 사회공헌활동 추진
- 사회적경제 조직관의 연계 및 협업 확대
- 지역산업체와의 협약을 통한 전이고용 기반 마련
-
전략방향
[중장기발전계획]연도 항목 세부내역 2021년 전이계획 - 직업능력평가 우수자 1명 일반사업체 전이 지원 훈련계획 - 일상생활훈련 (주 5회), 사회적응훈련 (주 3회)
- 작업태도 및 기술훈련 (주 5회), 의사소통기술훈련 (주 2회)직업훈련 - 대·소 근육향상훈련(주 5회), 변별과 분류능력향상훈련(주 5회)
- 자기옹호 및 주장훈련(주 1회)주요사업 - 임가공 제품의 고부가가치 일거리 발굴
- 자체상품 개발 및 정착, 신규업체 개발 및 아이템 탐색
- 작업공간 확장 계획 수립 및 방안 마련
- 이용장애인 3명 채용2022년 전이계획 - 직업능력평가 우수자 1명 일반사업체 전이 지원
- 훈련평가 우수자 2명 근로사업체 전이 지원훈련계획 - 일상생활훈련 (주 5회), 사회적응훈련 (주 3회)
- 작업태도 및 기술훈련 (주 5회), 의사소통기술훈련 (주 2회)직업훈련 - 대·소 근육향상훈련(주 5회), 변별과 분류능력향상훈련(주 5회)
- 자기옹호 및 주장훈련(주 1회), 직업적응훈련(주 3회)주요사업 - 임가공 업체 2개소 추가로 일거리 발굴
- 판촉물인쇄 장비 지원 및 디자인 인재양성
- 신규업체 개발 및 아이템 탐색, 작업 공간 확보방안 마련
- 이용장애인 2명 채용2023년 전이계획 - 직업능력평가 우수자 1명 일반사업체 전이 지원
- 훈련평가 우수자 4명 근로사업체 전이 지원훈련계획 - 일상생활훈련 (주 5회), 사회적응훈련 (주 3회)
- 작업태도 및 기술훈련 (주 5회), 의사소통기술훈련 (주 2회)직업훈련 - 대·소 근육향상훈련(주 5회), 변별과 분류능력향상훈련(주 5회)
- 자기옹호 및 주장훈련(주 1회)주요사업 - 임가공 업체 3개소 확보로 일거리 정착화
- 인쇄부문 인력양성 및 전문성 강화
- 시설 환경 개선 및 여가 활동 활성화
- 노후 인쇄관련기기 교체 방안 마련
- 이용장애인 5명 채용2024년 전이계획 - 직업능력평가 우수자 1명 일반사업체 전이 지원
- 훈련평가 우수자 2명 근로사업체 전이 지원훈련계획 - 일상생활훈련 (주 5회), 사회적응훈련 (주 3회)
- 작업태도 및 기술훈련 (주 5회), 의사소통기술훈련 (주 2회)직업훈련 - 대·소 근육향상훈련(주 5회), 변별과 분류능력 향상 훈련(주 5회)
- 자기옹호 및 주장훈련(주 1회)주요사업 - 인쇄가공 및 임가공분야 직업재활모델 확립
- 경제적∙사회적 자립체계 확립
- 장애인 안정적인 직업생활구축 확립
- 재정자립도 100% 달성
- 직업재활프로그램 3종 이상 개발
- 이용장애인 3명 채용2025년 전이계획 - 직업능력평가 우수자 1명 일반사업체 전이 지원
- 훈련평가 우수자 2명 근로사업체 전이 지원훈련계획 - 일상생활훈련 (주 5회)
- 사회적응훈련 (주 3회)
- 작업태도 및 기술훈련 (주 5회)
- 의사소통기술훈련 (주 2회)직업훈련 - 대·소 근육향상훈련(주 5회)
- 변별과 분류능력향상훈련(주 5회)
- 자기옹호 및 주장훈련(주 1회)주요사업 - 인쇄가공 및 임가공분야 직업재활모델 확대
- 경제적∙사회적 자립체계 확립
- 장애인 안정적인 직업생활구축 확립
- 지역사회연계사업 활성화 방안 마련
- 재정자립도 100% 달성
- 이용장애인 3명 채용임가공
- 이용장애인 3명 채용
